강지용 전 축구선수 사망…‘이혼숙려캠프’ 출연 후 비극적 결말
강지용 전 축구선수가 2025년 4월 22일 향년 36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최근 JTBC 예능 프로그램 ‘이혼숙려캠프’에 아내 이다은 씨와 함께 출연하여 가정사와 경제적 어려움을 공개하며 주목받았습니다.
⸻
강지용의 축구 인생과 은퇴 후 삶

강지용은 1989년생으로, 2009년 K리그 드래프트에서 포항 스틸러스에 5순위로 지명되며 프로 축구 선수로 데뷔했습니다. 이후 부산 아이파크, 부천 FC 1995, 강원 FC, 인천 유나이티드 FC 등에서 수비수로 활약했습니다. 2022년 은퇴 후에는 화학물질 제조 공장에서 근무하며 제2의 인생을 시작했습니다.


‘이혼숙려캠프’에서 드러난 가정사

강지용은 2025년 2월, JTBC 예능 프로그램 ‘이혼숙려캠프’에 아내 이다은 씨와 함께 출연하여 결혼 3년 차 부부로서의 갈등을 공개했습니다. 방송에서 그는 경제적 부담과 가족 간의 갈등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털어놓았습니다. 특히 “자다가 죽는 게 소원이다”라는 발언으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음을 드러냈습니다.
사망 소식과 사회의 반응

2025년 4월 22일, 강지용의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사망 원인은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며, 빈소는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되었습니다. JTBC는 강지용의 출연분을 다시보기 서비스에서 삭제하며 애도를 표했습니다. 축구계와 방송계, 대중 모두 충격과 슬픔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남겨진 가족과 애도

강지용의 아내 이다은 씨와 세 살배기 딸은 깊은 애도 속에 고인을 추모하고 있습니다. 방송에서 이다은 씨는 시어머니와의 갈등, 경제적 문제 등 현실적인 고충을 밝혔으며, 많은 시청자들의 공감을 받았습니다. 많은 네티즌들은 이들에게 따뜻한 위로를 전하고 있습니다.


⸻
강지용의 재정 문제와 연봉 공개

강지용은 ‘이혼숙려캠프’에서 자신의 재정 상황에 대해 솔직하게 털어놨습니다. 프로 생활 동안 약 5억 원가량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 수입은 모두 아버지가 관리했습니다. 본인은 용돈만 받아 썼고, 결혼 후 계좌에는 남아 있는 돈이 거의 없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이 돈이 남동생의 빌라 구입 등에 사용됐다고 전해져 많은 시청자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냈습니다.

K리그 중하위권 선수들의 연봉은 연간 수천만 원에서 많게는 1억 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으며, 강지용 역시 이 범주에 속하는 연봉을 받아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가용한 금액은 적었고, 이는 결혼 생활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이다은 씨의 고백과 갈등의 핵심

방송에서 이다은 씨는 경제적 부담이 본인에게 집중됐다고 밝혔습니다. 신혼집 마련, 출산 등 대부분의 비용을 자신이 부담했다고 말하며 불만을 표출했습니다. 또한 시어머니로부터 현재 살고 있는 집의 보증금을 이용해 남편의 빚을 갚으라는 말을 들은 적도 있다고 밝혀, 가족 간 갈등이 상당히 복잡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녀는 “마지막으로 관계 회복을 시도해보고자 캠프에 참여했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러한 노력도 강지용 씨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중단되고 말았습니다. 현재 이다은 씨는 어린 딸과 함께 남편의 장례 절차를 지키고 있습니다.
강지용과 가수 권은비의 관계

강지용은 가수 권은비의 사촌 오빠로, 과거 권은비가 Mnet ‘프로듀스48’에 출연했을 당시 SNS를 통해 투표를 독려하며 응원한 바 있습니다. 두 사람은 각자의 분야에서 최선을 다해 활동해왔으며, 서로를 향한 애정을 공공연히 드러냈습니다. 강지용의 사망 이후 권은비 역시 애도의 뜻을 간접적으로 전하며 안타까움을 표했습니다.
이 관계는 팬들 사이에서도 재조명되었으며, 운동과 예술이라는 서로 다른 분야에서 각자의 길을 걸었던 두 사람의 인연이 더욱 특별하게 다가왔습니다.
마무리하며

강지용은 축구선수로서, 남편으로서, 아버지로서 다양한 역할을 충실히 해내려 노력한 인물입니다. 그는 현실적인 고통과 갈등을 감추지 않고 방송을 통해 진솔하게 공개함으로써 사회적인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연예인 사망 소식에 그치지 않고, 스포츠 선수들의 은퇴 후 삶, 가족 간의 경제적 갈등, 정신 건강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고인의 명복을 빌며, 남겨진 가족들에게도 위로가 함께하길 바랍니다.
⸻